기술지원

의료/스포츠

01

디스크 취약 부위 구조 해석

여러 산업용 기계만이 아니라, 인간의 몸에도 기계적인 특성을 지닌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외부하중에 의하여 인체의 관절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석하여 의료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습니다.

목적

인공관절에 이용할 목적으로 뼈나 관절이 받는 하중을 분석

뼈와 뼈를 연결하는 Disc의 취약부위 예측

모델링 범위

뼈와 Disc의 두께 및 형상

필요 데이터

뼈, Disc의 재질 및 강도, 인체가 받게 되는 하중 및 경계조건

해석 방법

해당관절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 상황과 경계조건을 분석해야 합니다. 의료행위가 있을 경우에 받게 되는 조건을 분석하여, 인체에 대한 해석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Static Analysis

Dynamic Analysi

Coupled Analysis

결과물

응력, 변형량을 통하여 취약부위 예측

취약부위의 피로수명 예측

02

의치 성형시의 변형 및 강도 해석

치과에서 의료목적으로 사용하는 치아 보정물에도 해석을 적용합니다. 치아를 보조해주는 의치에 대한 열 하중 및 기계적 하중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목적

온도 변화에 따른 의치의 발생응력을 분석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치아 보정물의 점탄성 거동을 분석

모델링 범위

의치 전체

필요 데이터

3D 형상데이터, 점탄성 재료 물성

해석 방법

형상데이터를 받아서 정확히 모델링합니다. 의치가 실제로 받는 온도데이터를 적용하고, 시간이력해석을 통해서 점탄성 거동을 분석합니다.

Transient Thermal Analysis

Transient Dynamic Analysis

Coupled Analysis

결과물

의치에 발생하는 온도분포

온도 변화에 따른 응력변화

03

약물 흡입기 유동 개선

천식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는 환자의 안전을 위해 너무 큰 입자는 걸러주고 적절한 크기의 약물 입자만 흡입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유로 개선을 통해 흡입 성능을 강건하게 할 수 있습니다.

목적

흡입 공기 유동 구조 개선을 통한 입자 선별 성능 향상

모델링 범위

공기 구멍, 분말 입구 ~ 흡입구

필요 데이터

3D CAD, 흡입압력, 분말 크기

해석 방법

압력 경계 조건으로 입출구를 설정하고 DPM 기능을 이용하여 분말 입구에서 입자가 유입된 후, 유동 공간 내에서 거동을 추적합니다.

Steady / Transient

Turbulence Model

DPM Model

결과물

흡입구로 토출되는 입자 수, 입자 크기

약물 흡입기 내부 유동 형태

04

혈관 유동 분석

혈관 내를 흐르는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으면 혈관 질환의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혈관 형태에 따른 혈류 분석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 합니다.
혈류 유동에 대한 실험은 인체 특성상 실험이 어려우며 변수가 많기 때문에 CFD를 활용하면 보다 자유롭게 연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목적

혈류량 예측 및 혈류 특성 파악

모델링 범위

관심 혈관 부위의 입출구

필요 데이터

3D CAD(CT Scan), 입출구 혈압, 혈액 물성치

해석 방법

CT Scan Data를 CAD Data로 변환하여 모델을 생성합니다. 입구측은 혈압을 설정하고 출구측에는 출구 후단의 혈관에 해당하는 저항체를 고려하여 압력 저항 계수를 설정하고 유동 해석을 수행합니다.

Steady / Transient

Turbulence Model

결과물

해당 혈압에서의 혈류량

혈관 표면에서 혈류에 의한 전단력

혈류 유속

05

인큐베이터 유동장 해석

인큐베이터는 체중 2kg 이하의 미숙아 및 호흡장애 등의 증세를 보이는 신생아를 위하여 적정 온도, 습도, 산소 농도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CFD 해석 기술로 유동장을 개선하여 효과적인 인큐베이터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목적

인큐베이터 내부 유동 구조 개선을 통한 환기 장치 개발

인큐베이터 내부 적정 온도, 습도, 산소농도 유지 확인

모델링 범위

인큐베이터 내, 외부 중요 장비, 환기장치

필요 데이터

3D CAD, 온도, 습도, 산소발생기 성능, 환기장치 성능

해석 방법

압력 경계 조건으로 환기장치의 입출구 및 산소발생기를 설정하고 적정 농도의 산소 발생 및 신생아의 체온, 산소-이산화탄소 교환율을 적용하여 유동 해석을 수행합니다.

Steady / Transient

Turbulence Model

Species Transport

Heat Transfer

결과물

인큐베이터 내부 습도, 온도, 산소 농도

인큐베이터 내부 유동 구조 및 환기장비 성능

06

Needle-free 주사기

바늘 없는 주사기는 약액을 고속으로 분사하여 피부에 직접 침투시키는 방식이며, 액적 크기, 액적 분포 형태, 속도 등에 따라 성능이 달라집니다.
유동해석으로 유속 분포를 예측하여 고성능의 주사기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목적

압액 분포 예측

유속 분포 예측

모델링 범위

주사기 내부 약액 충진실부터 주사기 전방 공간

필요 데이터

3D CAD, 입출구 조건, 약액 물성치

해석 방법

CAD Data를 이용하여 유동 공간을 모델링하고 약액 카세트에 압력을 Pulse 형태로 입력합니다. 시간에 따라 형성되는 약액의 유속 및 분포를 측정하고 설계 인자를 변경해 가며 진행합니다.

Transient

Turbulence Model

Multiphase

결과물

시간에 따른 약액의 유속, 압력 등

07

수영복 저항 해석

수영 종목은 0.01초에 승부가 결정 되는 스포츠입니다. 수영 경기는 선수들의 기량뿐만 아니라 물의 저항을 최대한 줄이는 수영복 저항 감소 기술의 경연장이기도 합니다.
신소재를 이용한 전신수영복 등 이미 첨단 기술을 접목한 수영복들이 출시되어 수영복의 경쟁은 더욱 치열 해지고 있습니다.

목적

수영복 표면과 물의 마찰 항력 감소

모델링 범위

수영복 착용 전신 모델

필요 데이터

3D CAD, 소재 마찰계수 및 특성 곡선 등

해석 방법

수영복 소재의 특징을 잘 표현한 3D 모델링을 바탕으로 수영 중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자세들에 대한 저항 계수를 예측합니다.

Steady

Turbulence Model

결과물

수영 모델 주변의 유동장

수영복 표면의 저항 계수

08

싸이클 공기 저항 해석

싸이클 분야의 연구 방향은 주로 선수와 자전거에 미치는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데 있습니다. 또한 경기의 특성상 팀 경기가 많고, 펠로톤을 유지하여 경기하기 때문에 팀원 사이의 최적의 포메이션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목적

자전거 Frame, Handle 및 Front Wheel Shape 개선을 통한 공기저항 감소 예측

사이클링 자세 변화에 따른 공기저항 예측

모델링 범위

자전거 단품 ~ 다양한 포메이션의 단체 선수

필요 데이터

3D CAD (자전거 & 선수), 속도

해석 방법

자전거 단독 해석을 진행하여 각 부품의 형상을 최적화 하거나 선수의 자세 변화에 따른 공기저항 변화를 해석합니다.

Steady

Turbulence Model

Moving wall (Road)

결과물

각 조건에 따른 저항 계수

형상 Parameter 해석 결과

입력하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입니다.

admin123

비밀번호찾기 확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취소

탈퇴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확인

배송지목록

배송지명기본 배송지이름핸드폰번호주소관리
이원구010-1111-1234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선택 삭제
이원구010-1111-1234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선택 삭제
이원구010-1111-1234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선택 삭제
이원구010-1111-1234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선택 삭제
취소
1 2 3 4 5 6 7 8 9 10

신청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확인 취소

교육상세내용
Workbench Mechanical DesignModeler

SI/PI/EMI 기초 교육

본 교육은 ANSYS SIwave와 HFSS를 이용한 SI/PI/EMI 해석 기초이론 교육입니다. 특히 전기전자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전기전자 및 일반 산업 기기 전반에 걸쳐 주요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SI/PI/EMI에 대하여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 전자기학 기초, 전자부품 기초 및 SI/PI/EMI 기초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본 과정을 수료함으로써 현업에서의 SI/PI/EMI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시: 2016년 9월 27일(화) 10:00~17:00
#강사: 태성에스엔이 김지원 부장 / 
#교육비: 무상

10:00~11:30 : 전기전자 기초 교육
- SI/PI/EMI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이론 교육
- 전자기학 기초
- 전자부품 기초

11:40~13:00 : SI/PI 기초 이론
- Signal Integrity 기초
- Power Integrity 기초 
13:00~14:00 : 점심 식사
14:00~15:30 : EMI 기초 이론
- EMI/EMC 기초 이론 교육
- EMI/EMC 적용 사례 분석

15:40~17:00 : ANSYS SI/PI/EMI 해석 Solution Q&A

본 교육은 ANSYS SIwave와 HFSS를 이용한 SI/PI/EMI 해석 기초이론 교육입니다. 특히 전기전자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전기전자 및 일반 산업 기기 전반에 걸쳐 주요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SI/PI/EMI에 대하여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 전자기학 기초, 전자부품 기초 및 SI/PI/EMI 기초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본 과정을 수료함으로써 현업에서의 SI/PI/EMI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시: 2016년 9월 27일(화) 10:00~17:00
#강사: 태성에스엔이 김지원 부장 / 
#교육비: 무상

10:00~11:30 : 전기전자 기초 교육
- SI/PI/EMI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이론 교육
- 전자기학 기초
- 전자부품 기초

11:40~13:00 : SI/PI 기초 이론
- Signal Integrity 기초
- Power Integrity 기초 
13:00~14:00 : 점심 식사
14:00~15:30 : EMI 기초 이론
- EMI/EMC 기초 이론 교육
- EMI/EMC 적용 사례 분석

15:40~17:00 : ANSYS SI/PI/EMI 해석 Solution Q&A

본 교육은 ANSYS SIwave와 HFSS를 이용한 SI/PI/EMI 해석 기초이론 교육입니다. 특히 전기전자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전기전자 및 일반 산업 기기 전반에 걸쳐 주요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SI/PI/EMI에 대하여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 전자기학 기초, 전자부품 기초 및 SI/PI/EMI 기초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본 과정을 수료함으로써 현업에서의 SI/PI/EMI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시: 2016년 9월 27일(화) 10:00~17:00
#강사: 태성에스엔이 김지원 부장 / 
#교육비: 무상

10:00~11:30 : 전기전자 기초 교육
- SI/PI/EMI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이론 교육
- 전자기학 기초
- 전자부품 기초

11:40~13:00 : SI/PI 기초 이론
- Signal Integrity 기초
- Power Integrity 기초 
13:00~14:00 : 점심 식사
14:00~15:30 : EMI 기초 이론
- EMI/EMC 기초 이론 교육
- EMI/EMC 적용 사례 분석

15:40~17:00 : ANSYS SI/PI/EMI 해석 Solution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