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지원

조선/해양/중공업

01

선체 구조강도 해석

선체 내부의 캐리어 등의 구조적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운송 물에 의해 발생하는 기계하중을 고려한 구조강도 해석이 필요합니다.

목적

선체 내부 캐리어의 구조강도 계산

선체 및 저장탱트등의 구조강도 계산

모델링 범위

선체 캐리어의 형상 및 치수 모델링

필요 데이터

선체의 형상 및 두께데이터, 재질 데이터, 운항조건

해석 방법

선체는 운반물이 적재될 때 정적 및 동적 하중을 받게 됩니다. 선체의 형상 및 두께를 정확히 모델링 하고 선체에 작용하는 구조하중을 정확히 적용하여 강도를 검토합니다.

Static Structural Analysis

Transient Dynamic Analysis

결과물

선체에 발생하는 응력분포

충격 시 발생하는 파손거동

Reference
-------------------------------------------------------------------------------------------------------------------------------------------------------------------------
Suman Kar, D.G. Sarangdhar, J. G.S. Chopra, “ANALYSES OF SHIP STRUCTURES USING ANSYS”, SeaTech Sollutions International Ltd.

02

선박 가스터빈 피로 해석

선박에 들어가는 가스터빈은 장시간 지속적으로 운전되며 수십년간 반복하중을 받게 됩니다. 터빈 축 구조물에 대한 정적해석 및 피로 해석을 통해 취약 부위를 분석하고 수명을 예측할 필요가 있습니다.

목적

선박 가스 터빈에 대한 구조강도 설계

반복하중에 대한 피로 해석을 수행

모델링 범위

가스터빈 축 구조물 모델링

필요 데이터

터빈 형상 및 치수, 가스터빈 운전조건

해석 방법

분석할 가스터빈에서 해석에 필요한 부분을 정확한 치수로 모델링 합니다. 축 구조물은 운전시 열 하중과 구조 하중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운전 조건을 적용합니다.

Static Structural Analysis

Thermal Analysis

Fatigue Analysis

결과물

가스터빈 열 및 구조하중에 대한 최대응력

가스터빈 운전조건에 대한 피로수명

Reference
--------------------------------------------------------------------------------------------------------------------------------------------------------------
M. Sandeep Kumar, D.V.S. Raju, Dr.C. Udaya Kiran, “Design and Stress Analysis of Gas Turbine Multi-Stage Rotor Assembly”,
2014 IJIRT, Vol. 1 issure 5.

03

Offshore Plant Wind Loading

해양플랜트는 해양이라는 특수한 작업 환경으로 인해 많은 위험 요소 들이 있습니다. 특히, 바람에 의해 설비 및 작업 환경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해양플랜트의 바람에 의한 유동 흐름 및 구조물에 미치는 풍하중 예측은 설계 단계에서 필수 요소입니다.

목적

풍량 및 풍속에 의한 유동 흐름 및 풍하중 해석

모델링 범위

수면~해양플랜트 상부 구조물

필요 데이터

도면 혹은 형상, 설치 해역의 풍향, 풍속

해석 방법

다양한 방향과 속도를 갖는 해상풍을 각 해역에 맞게 고려하여 해양플랜트의 풍하중을 예측합니다.

Steady Stateor Transien

Turbulence

대기 경계층 Profile

결과물

해양플랜트 주변 유동 흐름

해양플랜트 구조물의 풍하중 분포

04

Offshore Plant Wave Loading

해양플랜트는 해양이라는 특수한 작업 환경으로 인해 많은 위험 요소 들이 있습니다.
특히, 태풍과 같은 자연 현상의 영향으로 거대 파도 (=Green Water)에 의해 해양플 랜트 상부(Superstructure)/하부 (Column) 구조물에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Wave에 의한 해양플랜트 구조물이 받는 파랑하중 예측은 설계 단계에서 필수 요소입니다.

목적

Wave 특성에 따른 해양플랜트 유체역학적 안정성 해석

모델링 범위

해수면을 고려한 해양플랜트의 상,하부 구조물

필요 데이터

해양플랜트 형상, 설치 해역 파랑정보등

해석 방법

다양한 조건의 Wave특성을 적용하여 해양플랜트의 파랑하중 영향 정도를 예측합니다.

Transient

Multiphase Model

Open channel wave BC

결과물

해양플랜트 각 부의 Wave Load Data

구조 해석과 연동 가능

05

Offshore Plant – Flare & Gas distribution

선박 및 FPSO, 해양플랜트에 설치 되어 있는 Funnel 및 Flare Tower 등은 연소 가스등을 배출하는 설비 입니다.
Funnel에서의 배출 가스 및 Flare Tower에서의 Flare는 선박의 운항 및 주변 작업자에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Funnel에 의한 배가스 확산 및 Flare Tower 주변의 Thermal Effect등은 설비 안전에 중요한 요소로 이에 대한 평가가 필수적입니다.

목적

선박 Funnel에 의한 배가스 확산 및 Funnel 형상 최적화

FPSO 및 해양 플랜트 Flare Tower 주변 Thermal Effect 평가

모델링 범위

Funnel을 포함한 선박 상부 및 해양플랜트 상부 구조물

필요 데이터

도면 혹은 형상, Funnel 및 Flare Tower의 Exhaust Gas 및 Thermal Data 등

해석 방법

배가스 확산 및 Thermal Effect 영향 평가 후 Funnel 형상 최적화 및 Flare Tower 주변 열 유동 특성을 예측합니다.

Steady State or Transient

Species Transport

Radiation Model (with Energy Equ.)

결과물

Funnel 주변 유동 분포 및 Funnel 최적화 형상

Flare Tower 주위의 열유동 특성 분포

06

프로펠러 성능 (POW with Cavitation) 해석

상선 및 FPSO 등에 장착되는 프로 펠러는 회전력으로 물을 뒤로 밀어 내고, 그 반작용으로 추진력을 얻습 니다.
프로펠러의 성능은 형상, 부착 위치, 날개수, 회전수 등에 따라 결정 될 뿐만 아니라 표면의 캐비테이션의 최소화 등 여러 문제가 복합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유체역학적으로 최적의 설계가 요구됩니다.

목적

프로펠러 성능 해석

모델링 범위

프로펠러 단독, 선박 및 프로펠러, 러더

필요 데이터

선체 및 프로펠러 형상, 작동 조건

해석 방법

프로펠러 성능 해석은 일반적으로 MRF를 이용하여 프로펠러의 성능을 예측 합니다. 프로펠러 후류(반류)의 유동장의 모사가 필요한 경우

Sliding Mesh를 이용합니다.

Steady State or Transient

MRF or Sliding Mesh Method

결과물

전진비에 따른 프로펠러 성능 평가

프로펠러 주변 유동 분포

프로펠러에 의한 Cavitation 생성 및 영향

07

Tank Sloshing 및 구조물 강도 해석

선박 또는 차량에 설치된 액체 보관 탱크는 외부 가속도에 의해 출렁이는 현상이 발생하며 심각한 경우에는 구조물에 타격을 주어 손상을 발생 시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동 현상을 제한하거나 구조물의 강도 를 보강할 필요가 있습니다.

목적

슬로싱에 의한 하중 예측

슬로싱 하중 상황에서 내부 베플 구조 강도 확보

모델링 범위

탱크 내부 유체 공간

베플 구조물

필요 데이터

3D CAD, 외부 가속도, 운전 조건, 재료 물성치

해석 방법

2-Way FSI 기법을 사용하여 구조 거동과 유동 거동을 동시에 계산합니다.

Transient / Multiphase

2-Way FSI

Pressure Load Transfer

결과물

슬로싱에 의한 자유 수면의 변화

베플 구조물의 응력, 변형량

Reference
----------------------------------------------------------------------------------------------------------------------------------------------------------------------------------
Mariusz Domagaáa, Edward Lisowski, “INTERACTION OF LIQUID MOTION ON MOBILE TANK STRUCTURE”, Cracow University of Technology

입력하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입니다.

admin123

비밀번호찾기 확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취소

탈퇴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확인

배송지목록

배송지명기본 배송지이름핸드폰번호주소관리
이원구010-1111-1234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선택 삭제
이원구010-1111-1234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선택 삭제
이원구010-1111-1234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선택 삭제
이원구010-1111-1234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선택 삭제
취소
1 2 3 4 5 6 7 8 9 10

신청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확인 취소

교육상세내용
Workbench Mechanical DesignModeler

SI/PI/EMI 기초 교육

본 교육은 ANSYS SIwave와 HFSS를 이용한 SI/PI/EMI 해석 기초이론 교육입니다. 특히 전기전자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전기전자 및 일반 산업 기기 전반에 걸쳐 주요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SI/PI/EMI에 대하여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 전자기학 기초, 전자부품 기초 및 SI/PI/EMI 기초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본 과정을 수료함으로써 현업에서의 SI/PI/EMI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시: 2016년 9월 27일(화) 10:00~17:00
#강사: 태성에스엔이 김지원 부장 / 
#교육비: 무상

10:00~11:30 : 전기전자 기초 교육
- SI/PI/EMI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이론 교육
- 전자기학 기초
- 전자부품 기초

11:40~13:00 : SI/PI 기초 이론
- Signal Integrity 기초
- Power Integrity 기초 
13:00~14:00 : 점심 식사
14:00~15:30 : EMI 기초 이론
- EMI/EMC 기초 이론 교육
- EMI/EMC 적용 사례 분석

15:40~17:00 : ANSYS SI/PI/EMI 해석 Solution Q&A

본 교육은 ANSYS SIwave와 HFSS를 이용한 SI/PI/EMI 해석 기초이론 교육입니다. 특히 전기전자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전기전자 및 일반 산업 기기 전반에 걸쳐 주요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SI/PI/EMI에 대하여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 전자기학 기초, 전자부품 기초 및 SI/PI/EMI 기초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본 과정을 수료함으로써 현업에서의 SI/PI/EMI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시: 2016년 9월 27일(화) 10:00~17:00
#강사: 태성에스엔이 김지원 부장 / 
#교육비: 무상

10:00~11:30 : 전기전자 기초 교육
- SI/PI/EMI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이론 교육
- 전자기학 기초
- 전자부품 기초

11:40~13:00 : SI/PI 기초 이론
- Signal Integrity 기초
- Power Integrity 기초 
13:00~14:00 : 점심 식사
14:00~15:30 : EMI 기초 이론
- EMI/EMC 기초 이론 교육
- EMI/EMC 적용 사례 분석

15:40~17:00 : ANSYS SI/PI/EMI 해석 Solution Q&A

본 교육은 ANSYS SIwave와 HFSS를 이용한 SI/PI/EMI 해석 기초이론 교육입니다. 특히 전기전자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전기전자 및 일반 산업 기기 전반에 걸쳐 주요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SI/PI/EMI에 대하여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 전자기학 기초, 전자부품 기초 및 SI/PI/EMI 기초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본 과정을 수료함으로써 현업에서의 SI/PI/EMI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시: 2016년 9월 27일(화) 10:00~17:00
#강사: 태성에스엔이 김지원 부장 / 
#교육비: 무상

10:00~11:30 : 전기전자 기초 교육
- SI/PI/EMI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이론 교육
- 전자기학 기초
- 전자부품 기초

11:40~13:00 : SI/PI 기초 이론
- Signal Integrity 기초
- Power Integrity 기초 
13:00~14:00 : 점심 식사
14:00~15:30 : EMI 기초 이론
- EMI/EMC 기초 이론 교육
- EMI/EMC 적용 사례 분석

15:40~17:00 : ANSYS SI/PI/EMI 해석 Solution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