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안내

Autodesk Moldflow

Autodesk Moldflow

플라스틱 제품 및 금형 설계를 위한 사출 성형 공정 해석 솔루션

Moldflow는 플라스틱 수지의 유동 및 냉각 과정을 시뮬레이션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사출 성형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 불량 문제들을 제품 및 금형 설계 단계에서 사전 예측함으로써 프로토타입 금형 개발 기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습니다. 열가소성, 열경화석 수지 모두 사용 가능하며, 일반 사출 성형 해석 뿐만 아니라 특수 사출 성형 공정 구현이 가능합니다.

제품문의

Why Moldflow?

Moldflow는 1978년에 첫 상용화가 이뤄졌으며 2000년도 C-Mold사와의 합병을 거쳐 2008년 Autodesk 사에 합병되어 현재까지 사출 성형 해석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 수지 및 사출 성형 공정 연구를 위해 미국과 호주에 2개의 연구소가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 일반기계, 전기전자, 생활 가전 및 헬스케어 분야 등 플라 스틱 재료가 적용되는 모든 산업군에서 Moldflow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일부 자동차 업계에서는 Moldflow를 표준으로 둘 만큼 높은 신뢰성을 보유한 사출 성형 해석 프로그램입니다.

Moldflow 주요 특징

광범위한 수지 데이터베이스 제공

Moldflow의 강점은 세계 최대의 수지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한 사출 성형 해석 프로그램이라는 것입니다. 약 10,000종 이상의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수지의 물성을 보유 하고 있습니다. 호주 멜버른 연구소와 미국 이카타 연구소 및 수지 회사에서 자체 측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석을 위해 최적화 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에디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수정 후 사용할 수 있으며, 제품에 유리한 재료 선택을 위해 2개의 물성을 비교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Rheological Properties
pvT Properties
Material Search & Select

Mesh Technology

제품 두께, 크기 및 형상에 따른 제약 없이 사출 성형 해석이 가능하고 해석의 정확성과 시간에 따라 사용자가 격자 타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직관적인 격자크기 조정옵션을 사용하여 Moldflow 작업화면 안에서 쉽고 편리하게 격자를 생성합니다.

플라스틱 제조 산업에서의 Moldflow 활용

사출 성형 해석의 가장 큰 목적은 성형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성형 불량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입니다. Moldflow를 통해 제품의 성형성 평가, 외관 불량, 변형 문제 뿐만 아니라 냉각 효율을 고려한 금형 설계 및 최적화가 가능합니다.

성형성
  • 충진 패턴, 유동 선단의 온도 등을 통한 미성형 (Short Shot) 발생 가능성 확인
  • 각 게이트 별 수지의 충진량 확인으로 유동 밸런스 (Flow Balance)를 판단
외관불량
  • 수지의 유동 선단이 만나며 생기는 가는 선인 웰드 라인 (Weld Line) 확인
  • 금형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힌 에어 트랩 (Air Trap) 확인
  • 제품 표면에 움푹 패여 보이는 부분인 싱크 마크(Sink Mark) 확인
변형
  • 수지의 PVT 특성에 의한 수축 편차 냉각 온도 편차 섬유 배향에 의한 제품의 변형 확인
냉각
  • 냉각 효율 극대화를 위한 채널 설계 및 최적화
    • - 냉각수 입구/출구의 온도 편차
    • - 금형의 Hot Spot 및 채널 효율을 고려한 최적 설계 가능

사출 성형 해석 프로세스

CAD Model을 불러온 다음 해석 타입에 맞는 격자를 생성하고, 수지 선택 및 공정을 입력한 후 사출 성형 해석을 수행합니다.

  • 불필요한 형상 제거 및 단순화
  • Part & Insert Mesh
    (3D, Dual Domain,
    Midplane)
  • Thermoplastics
  • Thermosets
  • Mold Materials. Etc.
  • Thermoplastics
  • Thermosets
  • Mold Materials. Etc.
  • Cool
  • Fill & Pack
  • Warpage

분야별 사출 성형 해석 사례

플라스틱 유동 해석 (Plastic Flow Simulation)

외관 불량 예측, 사출 성형 공정 개선, 부품 및 금형 설계 최적화를 위해 캐비티 내 유동 과정을 시뮬레이션 합니다.

특징
  • 충진/보압 해석 (Filling & Packing Analysis)
  • 최적 사출 성형 조건 및 영역 탐색 (Molding Window Analysis)
  • 인서트 사출 (Insert Overmolding)
  • 이중 사출 (Two-Shot Sequential Overmolding)

금형 냉각 해석 (Mold Cooling Simulation)

냉각 설계에 따른 금형 온도를 예측할 수 있고 냉각 속도 및 금형 온도의 균일성을 확인하여 제품 변형과 성형 공정 시간을 최소화하는 냉각 설계가 가능합니다.

특징
  • 냉각 요소 모델링 (Cooling Component)
  • 냉각 시스템 해석 (Cooling System Analysis)
  • 금형 급속 가열 및 냉각 (Rapid heat Cycle molding)
  • 균일 냉각 (Conformal cooling)
  • 금형 유도 가열 (Induction heating)

수축 및 변형 해석 (Shrinkage and Warpage Simulation)

수지의 충진, 보압 및 냉각 과정을 거쳐 금형 밖으로 제품이 취출 된 이후의 제품의 변형량을 확인합니다. 변형의 원인을 사전 예측하여 변형 최소화를 위한 제품 및 금형 설계 최적화가 가능합니다.

특징
  • 수축 해석 (Shrinkage Analysis)
  • 변형 해석 (Warpage Analysis)
  • 코어 시프트 (Core Shift Controls)
  • 섬유 배향 (Fiber Orientation)

섬유 배향 예측 해석 (Fiber Orientation Simulation)

플라스틱 수지 내 장/단 유리 섬유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유동 패턴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섬유가 배향되며, 제품의 수축과 기계적 물성의 이방성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섬유 배향 원인을 사전 예측하여 제품의 휨 또는 뒤틀림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특징
  • Short & Long Fiber Calculation Models
  • RSC (Reduced Strain Closure) Model
  • ARD (Anisotropic Rotary Diffusion) Model
  • Fiber Breakage

열경화성 수지의 성형 해석 (Thermoset Flow Simulation)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 성형 공정 외 열경화성 사출 성형, RIM/SRIM, RTM 및 열경화성 성형 공정의 시뮬레이션이 가능합니다.

특징
  • 반응 사출 성형 (Reaction Injection Molding)
  • 구조 반응 사출 성형 (Structural Reaction Injection Molding)
  • 압축 성형 (Compression Molding)
  • 수지 이송 주입 성형 (Resin Transfer Molding)
  • Microchip Encapsulation
  • Underfill Encapsulation
  • Wire Sweep and Paddle Shift
Underfill Encapsulation
Microchip Encapsulation : Paddle Shift (Fill Pattern)
Microchip Encapsulation : Paddle Shift (Wire & Paddle Deformation)

입력하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입니다.

admin123

비밀번호찾기 확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취소

탈퇴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확인

배송지목록

배송지명기본 배송지이름핸드폰번호주소관리
이원구010-1111-1234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선택 삭제
이원구010-1111-1234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선택 삭제
이원구010-1111-1234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선택 삭제
이원구010-1111-1234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120, 111 (역삼동, 유니온센터빌딩)

선택 삭제
취소
1 2 3 4 5 6 7 8 9 10

신청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확인 취소

교육상세내용
Workbench Mechanical DesignModeler

SI/PI/EMI 기초 교육

본 교육은 ANSYS SIwave와 HFSS를 이용한 SI/PI/EMI 해석 기초이론 교육입니다. 특히 전기전자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전기전자 및 일반 산업 기기 전반에 걸쳐 주요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SI/PI/EMI에 대하여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 전자기학 기초, 전자부품 기초 및 SI/PI/EMI 기초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본 과정을 수료함으로써 현업에서의 SI/PI/EMI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시: 2016년 9월 27일(화) 10:00~17:00
#강사: 태성에스엔이 김지원 부장 / 
#교육비: 무상

10:00~11:30 : 전기전자 기초 교육
- SI/PI/EMI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이론 교육
- 전자기학 기초
- 전자부품 기초

11:40~13:00 : SI/PI 기초 이론
- Signal Integrity 기초
- Power Integrity 기초 
13:00~14:00 : 점심 식사
14:00~15:30 : EMI 기초 이론
- EMI/EMC 기초 이론 교육
- EMI/EMC 적용 사례 분석

15:40~17:00 : ANSYS SI/PI/EMI 해석 Solution Q&A

본 교육은 ANSYS SIwave와 HFSS를 이용한 SI/PI/EMI 해석 기초이론 교육입니다. 특히 전기전자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전기전자 및 일반 산업 기기 전반에 걸쳐 주요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SI/PI/EMI에 대하여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 전자기학 기초, 전자부품 기초 및 SI/PI/EMI 기초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본 과정을 수료함으로써 현업에서의 SI/PI/EMI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시: 2016년 9월 27일(화) 10:00~17:00
#강사: 태성에스엔이 김지원 부장 / 
#교육비: 무상

10:00~11:30 : 전기전자 기초 교육
- SI/PI/EMI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이론 교육
- 전자기학 기초
- 전자부품 기초

11:40~13:00 : SI/PI 기초 이론
- Signal Integrity 기초
- Power Integrity 기초 
13:00~14:00 : 점심 식사
14:00~15:30 : EMI 기초 이론
- EMI/EMC 기초 이론 교육
- EMI/EMC 적용 사례 분석

15:40~17:00 : ANSYS SI/PI/EMI 해석 Solution Q&A

본 교육은 ANSYS SIwave와 HFSS를 이용한 SI/PI/EMI 해석 기초이론 교육입니다. 특히 전기전자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전기전자 및 일반 산업 기기 전반에 걸쳐 주요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SI/PI/EMI에 대하여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 전자기학 기초, 전자부품 기초 및 SI/PI/EMI 기초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본 과정을 수료함으로써 현업에서의 SI/PI/EMI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시: 2016년 9월 27일(화) 10:00~17:00
#강사: 태성에스엔이 김지원 부장 / 
#교육비: 무상

10:00~11:30 : 전기전자 기초 교육
- SI/PI/EMI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이론 교육
- 전자기학 기초
- 전자부품 기초

11:40~13:00 : SI/PI 기초 이론
- Signal Integrity 기초
- Power Integrity 기초 
13:00~14:00 : 점심 식사
14:00~15:30 : EMI 기초 이론
- EMI/EMC 기초 이론 교육
- EMI/EMC 적용 사례 분석

15:40~17:00 : ANSYS SI/PI/EMI 해석 Solution Q&A